학과소개
공업화학과(Industrial Chemistry)는 화학, 물리학, 생물학 등의 순수과학을 응용하여 친환경적이고 고효율적인 산업소재 및 공정개발을 연구하는 학문으로 화학을 산업적으로 응용하는 학문으로 최근에는 신소재공학과, 화학공학 또는 재료공학과와 통합되어 불리기도 한다. 공업화학에는 여러 분야가 있지만 대표적으로 무기공업화학, 유기공업화학, 반응공정시스템, 환경, 에너지, 생물화학공학, 소재, 정밀화학 분야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이들 공업화학의 각 분야는 단독으로 또는 서로 융합해서 당면한 천연자원고갈 및 환경오염문제 등을 해결할 수 있는 대체에너지개발과 고기능성물질개발, 친환경소재개발 등의 미래 지향적인 화학 산업을 선도하는 첨단기술 분야로 성장하고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화학공학과 [Chemical Engineering] (한국직업능력개발원)
교육과정
공업화학과에서는 공업화학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기 위한 이론 및 실험을 단계적인 학습과 실습을 통해 익힌다. 주로 다루는 과목에는 유기화학, 무기화학, 물리화학, 분석화학, 석유화학 등이 있다.
해당 학과 전공 후 진로
공업화학과 졸업생은 공업화학의 전통산업분야인 석유, 화학, 제약, 식품, 섬유, 시멘트, 화장품, 약품, 가스, 고무, 전기전자, 무역 등의 공업화학의 전 분야와 신소재, 환경, 에너지, 고분자, 생명공학 등의 첨단 학문 분야와 관련된 산업체 및 국공립 연구소 등으로 진출한다. 또한, 공업화학과는 비사범계 학과 중 교직과정 설치 학과로서 교직과정을 희망하여 이수하는 경우 중등학교 정교사(2급) 교원자격증이 발급되어 교사 임용고시 응시 자격이 주어진다.
화학전공 연관직업
① 화학공학기술자 (엔지니어), ② 화학물 및 화학제품 관련 검사원, ③ 자연과학 및 사회과학 연구 관리직, ④ 공업화학전공 연관산업, ⑤ 화합물 및 화학제품 제조업, ⑥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⑦ 전문·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
화학전공 연관자격증
① 화공기사, ② 화약류 제조산업기사, ③ 화약류 제조기사